우리 동네 우리 역사 ③ 송파구 송파1동 “行御史 李公建昌 永世不忘碑"
21세기에 다시 만나고 싶은 “어사 이건창”
백제고분로 송파초등학교 바로 옆 근린공원 길가를 지나다보면 나란히 서 있는 두 개의 비를 보게 된다. “行御史 李公建昌 永世不忘碑”와 “乙丑 七月 十八日 大洪水紀念碑”이다.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두개의 비가 한 공간에 함께 하는 데에는 나름 의미가 있다. 전자가 조선시대 최대장터라는 ‘송파장’의 가장 흥했던 시기를 상징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인해 송파장이 가장 큰 수난을 겪었던 쇠퇴기의 모습을 대변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송파장이 가장 흥했던 조선 말기는 다른 한편으로는 고관대작들의 매관매직과 수뢰, 착취로 인해 사회의 부패상이 극에 달했던 혼돈의 시기였다. 이런 대 혼란기에 암행어사가 되어 많은 이들을 감복케 한 분이 있었으니 그가 바로 “寧齋 李建昌(1852~1898)”이다.
그는 조선후기 3대 문장가(滄江 金澤榮, 梅泉 黃玹, 明美堂 李建昌)중의 한 사람으로 고종으로부터 당대 최고의 글 꾼이라는 칭송을 들었던 강화학파의 마지막 효장이다. 1852년(철종3년) 개성에서 출생하여 이조판서를 지낸 조부 李是遠(1790~1866년)의 가르침 속에 선대로부터 살았던 강화에서 성장하였다. 李是遠은 1866년 병인양요의 억울함을 참지 못해 아우인 李止遠과 함께 나란히 자결함으로써 몸소 우국충정을 보였던 의인이다. 나라를 위해 초개처럼 목숨을 버렸던 이러한 할아버지들의 강건하고 올곧은 선비정신은 어린 영재에게 어떻게 살 것 인가에 대한 삶의 지표가 되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5세에 문장을 구사할 만큼 재주가 뛰어나 신동이라는 말을 들었던 영재는 1866년(고종3년) 15세 최연소나이로 별시문과에 급제한다. 그러나 너무 어린 나이에 과거에 합격하여 19세가 되어서야 홍문관직으로 벼슬길에 올라 1874년 서장관으로 청에 가서 그곳의 학자들과 교류하며 명성을 떨친다. 이듬해에는 충청우도 암행어사가 되어 충청감사 조병식의 비행을 낱낱이 파헤치다가 도리어 모함을 받아 벽동으로 유배되는 일을 겪으면서 벼슬을 버리고 한동안 칩거생활에 들어간다. 그러나 28세 되던 1880년 고종의 간곡한 부름에 의하여 경기도 암행어사가 되어 다시 민생을 살피는 일에 나아간다.
경기도 광주 일원을 돌면서 관리들의 비행을 폭로하고 흉년을 당한 농민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식량문제를 해결해 주고 세금을 감면해 주는 등 민생구제에 힘썼던 영재는 송파장에 와서도 신분을 속인 채 그 곳 장꾼들의 고충을 들어주고 용기를 북돋아 주는 일에 앞장섰다. 아쉽게도 송파장에서의 그의 행적에 대한 기록은 현재 전해지는 것이 거의 없는 편이다. 그러나 1883년 5월 2일 그가 머물렀던 장터 입구에 주민들에 의해 공덕비가 세워졌다는 사실 하나 만으로도 그의 애민정신과 강건한 의지가 얼마나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었는지는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고종이 지방관을 보낼 때에 “그대가 가서 잘 못하면 이건창이 가게 될 것이다”라는 일화와도 무관하지 않은 부분이다.
높이 146cm, 폭 21cm의 “行御史 李公建昌 永世不忘碑”는 1925년 을축년 대홍수에 유실되었다가 1979년 어느 향토사학자에 의하여 발견되어 송파여성문회회관 앞에 그 모습을 되찾아 다시 세워졌다. 그 뒤 2009년 12월 송파1동 주민자치센터가 같은 자리에 신축되면서 바로 옆 근린공원으로 또 한 번 옮겨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렀으니 오늘날 공덕비의 의미가 점점 퇴색되어지는듯하여 안타까운 마음이다.
이번 여름 가족여행길에 우연히 강화에 있는 이건창 생가에 들를 기회가 있었다.
정승집안이라는 선입견과는 달리 소탈하고 검소하기 이를 데 없는 작은 규모의 시골집을 보고 청빈했던 영재집안의 면모에 다시 한 번 마음이 숙연해졌던 기억이 새롭다.
가장 어려운 시기에 가장 큰 인물이 난다고들 흔히 말한다. 송파에서 이건창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 것만으로도 참으로 감사한 요즈음, 영재와 같은 반듯한 인물을 이번 대선에서 다시 한 번 기대한다면 지나친 바램일까!!
김경숙 (송파문화원 문화유산해설사
한성백제박물관 전시해설사)
'흔적의 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끝장 토론? (0) | 2012.11.25 |
---|---|
부족한 노래입니다 (0) | 2012.10.27 |
한국문화원 창립 50주년 기념식 2012. 08.30 (0) | 2012.08.31 |
세월무상 (0) | 2012.06.18 |
중앙일보 게재글⑴ : 조선 최대 장터서 벌이던 '송파산대놀이' 오늘까지 이어져 (0) | 2012.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