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흔적따라

경남 양산서 조선시대 제방 발굴

wowjenny 2011. 2. 18. 00:23

 

경남 양산서 조선시대 제방 발굴

[중앙일보] 입력 2009.12.10 02:43 / 수정 2009.12.10 10:23

홍수 막으려 쌓은 둑 725m 확인

조선시대 물류 중심지였던 양산 물금 지역에서 낙동강 범람을 막기 위해 설치한 둑인 ‘황산언’이 발굴됐다. 9일 오후 현장 설명회가 열렸다. [문화재청 제공]

4대 강 살리기 사업부지에서 중요 유적이 처음 발굴됐다. 낙동강 권역 부지인 경남 양산 증산리 물금읍 일원에서 조선시대에 강의 범람을 막기 위해 쌓은 강둑 ‘황산언(黃山堰)’이 725m가량 확인됐다. 문화재청 발굴제도과 신희권 학예연구관은 “지금까지 백제 벽골지, 의림지 등의 호수 제언은 발굴된 적이 있지만 강변을 따라 쌓은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강둑은 모래흙으로 형태를 만든 뒤 돌을 둘러 씌워 기초 골격을 만들고 점토를 씌운 것으로 추정된다. 낙동강이 흐르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축조된 강둑 안쪽에서는 건물지와 도기편, 해무리굽 청자편, ‘長(장)’자 묵서가 쓰인 분청사기발편 등의 유물도 출토됐다. 황산언은 낙동강의 범람으로부터 당시 교통·물류의 중심지였던 황산역의 역참 시설과 마위답(馬位畓·역마를 사육하기 위해 지급한 토지)을 보호하기 위해 쌓은 제방으로 추정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정조16년(1792) 양산 지역에 분포하는 제언은 읍언·황산언·도언 3개소가 있으며, 수해로 피해를 봤다는 기록이 있다. 황산언은 고지도 ‘양산군읍지도’와 ‘양산읍지’에도 드러난다. 대구한의대 관광레저학과 김세기 교수는 “조선시대까지도 대규모 토목공사 기술이 필요한 강둑을 조성한 사례가 많지 않다”며 “가야와 신라의 경계를 이루던 물금 지역이 조선시대까지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곳이었음을 확인시켜주는 유적”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발굴된 구간은 생태공원과 주민 산책로 등으로 조성될 계획이었다. 문화재위원들은 9일 열린 발굴 현장 지도위원회에서 사업 계획을 일부 수정해 역사공원화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양산=이경희 기자